임차인이 법4조1항에 따라 2년 미만의 기간을 주장할 수 있는 경우는 기간 종료 원인으로 보증금 반환 등 구하는 경우에 한정. 그 단기 기간 기준으로 묵시갱신이 되었다고 주장은 불가
대법원 1996. 4. 26. 선고 96다5551,5568 판결
판시사항
[1]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에 정한 최소 2년간의 임대차기간 보장 규정의 의미
[2]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주택에 관하여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기간의 만료를 주장할 수 있는 경우
판결요지
[1]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은 같은 법 제10조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임차인의 보호를 위하여 최소한 2년간의 임대차기간을 보장하여 주려는 규정이므로, 그 규정에 위반되는 당사자의 약정을 모두 무효라고 할 것은 아니고, 그 규정에 위반하는 약정이라도 임차인에게 불리하지 않은 것은 유효하다.
[2]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의 적용을 배제하고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기간의 만료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임차인 스스로 그 약정 임대차기간이 만료되어 임대차가 종료되었음을 이유로 그 종료에 터잡은 임차보증금 반환채권 등의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에 한정되고, 임차인이 2년 미만의 약정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고 다시 임대차가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는 이유로 같은 법 제6조 제1항, 제4조 제1항에 따른 새로운 2년간의 임대차의 존속을 주장하는 경우까지 같은 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간보다 짧은 약정 임대차기간을 주장할 수는 없다.
2년 미만 계약(ex. 1년짜리 계약) 묵시적 갱신 시점 :: lawyer lameans (tistory.com)
2년 미만 계약(ex. 1년짜리 계약) 묵시적 갱신 시점
2년 미만 계약(ex. 1년짜리 계약) 묵시적 갱신 시점 = '2년' 지난 시점에 묵시적 갱신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주류 견해. (상호 아무 말 없이) 계약된 1년이 지나면 그냥 2년짜리 계약이었다고 간주되
lameans.tistory.com